악기

워터폰의 종류 (스탠다드 워터폰, 메가폰 워터폰, 미니 워터폰 등)

찬양 렘넌트 2025. 4. 9. 17:18
반응형

워터폰의 종류 (스탠다드 워터폰, 메가폰 워터폰, 미니 워터폰 등)

 

워터폰(waterphone)은 금속과 물을 이용해 신비롭고 오싹한 소리를 내는 실험 악기입니다. 주로 영화나 드라마의 공포, 미스터리 장면에서 효과음으로 사용됩니다. 본체에 물을 넣고 금속 막대를 활로 긁거나 두드려 연주합니다.

 

음악
음악

 

1. 워터폰의 종류

 

스탠다드 워터폰(Standard Waterphone): 가장 보편적인 형태로, 중간 크기의 본체에 다양한 길이의 금속 막대가 부착되어 있음. 공연이나 녹음에 자주 사용됩니다.

 

메가폰 워터폰(Megabass Waterphone): 큰 크기와 깊은 본체로, 더욱 낮고 풍부한 음을 냅니다. 강한 베이스 음향이 필요한 곳에 적합합니다.

 

미니 워터폰(Mini Waterphone): 작고 가볍게 제작되어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용 공연이나 소리 실험용으로 사용됩니다.

 

베이스 워터폰(Bass Waterphone) : 일반 스탠다드보다 더 긴 금속 막대와 큰 공명통을 가지고 있어, 깊고 무거운 저음을 냅니다. 영화 음악이나 사운드 아트에 자주 사용됩니다.

 

아쿠아소닉(Aqua Sonic) : 워터폰과 유사한 디자인이지만, 전자음향을 더 잘 수용하거나 설치 예술에 특화된 형태. 일부는 물속에서 연주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2. 스탠다드 워터폰(Standard Waterphone)

 

**스탠다드 워터폰(Standard Waterphone)**은 가장 기본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워터폰 형태입니다.

 

1. 주요 특징:

 

크기: 중간 정도 (대략 35~40cm 높이)

 

재질: 스테인리스 스틸로 된 본체와 다양한 길이의 금속 막대

 

구성:

 

둥근 본체(레조넌스 챔버) 안에 물을 일부 채움

 

막대들(Tines): 본체 가장자리에 원형으로 배열됨

 

넥(Tube handle): 손잡이 겸 공명을 위한 구조

 

2. 음색:

 

물의 움직임과 금속 떨림이 결합돼 유동적이고 미스터리한 소리

 

활로 긁거나 손, 스틱 등으로 타격해 다양한 음색 연출 가능

 

전자기기로 증폭 가능 (콘덴서 마이크 등 사용)

 

3. 메가폰 워터폰(Megabass Waterphone)

 

메가폰 워터폰(Megabass Waterphone) — 이름만큼이나 묵직한 존재감을 자랑하는 워터폰의 대형 버전입니다.

 

주요 특징:

 

크기: 스탠다드보다 훨씬 크며, 대개 50cm 이상

 

재질: 동일하게 스테인리스 스틸, 단 공명통이 훨씬 깊고 넓음

 

막대 배열: 더 길고 굵은 막대 사용 → 낮은 진동수의 음 가능

 

물 용량: 더 많이 담을 수 있어, 물의 움직임이 소리에 미치는 영향도 더 큼

 

음색:

 

깊고 저음 중심의 사운드

 

더 오래 지속되는 공명

 

저주파의 웅장하고 공간감 있는 소리 → “지하세계” 느낌을 줄 정도

 

4. 미니 워터폰(Mini Waterphone)

 

**미니 워터폰(Mini Waterphone)**은 작고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워터폰의 컴팩트 버전이에요. 크기는 작지만 그 특유의 미스터리한 소리는 그대로!

 

1. 주요 특징:

 

크기: 약 20~30cm 내외 — 가장 작고 가벼운 형태

 

재질: 기본적으로 다른 워터폰과 같은 금속 구조

 

구성:

 

작은 공명통과 짧은 막대

 

물을 소량 넣어 음색 조절 가능

 

종종 손잡이가 생략되거나 단순화됨

 

2. 음색:

 

고음 중심의 선명하고 가벼운 사운드

 

공명이 작아 소리의 울림은 짧지만, 찰랑거리는 듯한 소리 연출에 탁월

 

고스트 같은 효과음, 신비로운 분위기에 적합

 

5. 베이스 워터폰(Bass Waterphone)

 

**베이스 워터폰(Bass Waterphone)**은 이름 그대로, 더욱 깊고 무게감 있는 저음을 내기 위해 설계된 워터폰이에요. 메가폰 워터폰과 비슷하지만, 소리의 질감과 목적성이 조금 더 '저음 특화' 쪽에 집중되어 있어요.

 

1. 주요 특징:

 

크기: 중대형 — 메가폰급이거나 비슷한 수준

 

공명통: 넓고 깊으며, 저음 공진에 최적화

 

막대 길이: 일반적으로 더 굵고 긴 막대를 사용해 낮은 주파수 소리 생성

 

물의 양: 더 많을 수 있으며, 물의 움직임에 따라 저음이 유동적으로 변조됨

 

2. 음색 특성:

 

깊고 어두운 사운드, 무게감 있는 저음 공명

 

음의 여운이 길고, 울림이 크며 공간을 가득 채우는 느낌

 

흔히 "지하 동굴", "심해", "초현실적 공간" 같은 분위기를 연출할 때 사용됨

 

저음에서도 물결치듯 흐르는 변화무쌍한 소리가 특징

 

6. 아쿠아소닉(Aqua Sonic)

 

**아쿠아소닉(Aqua Sonic)**은 워터폰과 유사한 원리를 활용하지만, 더 예술적이고 실험적인 방향으로 확장된 악기 또는 퍼포먼스 개념이에요. 특히 덴마크의 아트 그룹 Between Music이 이 이름으로 유명해졌어요.

 

1. 주요 특징:

 

수중 악기 또는 수중 연주 퍼포먼스를 가리킴

 

실제 물속(수조, 유리탱크 등)에서 연주하며, 소리와 물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함

 

워터폰 외에도 바이올린, 하프, 퍼커션 등을 수중에 특화된 형태로 개조하여 사용함

 

2. 소리 특성:

 

물속이라는 매질의 특성상, 몽환적이고 흐릿한 음색

 

공기 중과 전혀 다른 사운드 질감 – 잔잔한 파동, 변형된 울림, 뽀글거림 등

 

종종 콘택트 마이크나 수중 마이크(하이드로폰)으로 소리를 증폭

반응형